영화 산업: Jeju uprising

  • 2015
    퇴마; 무녀굴

    퇴마; 무녀굴 (2015)

    퇴마; 무녀굴

    5.92015HD

    유명한 정신과 전문의 진명은 그의 조수이자 영매인 지광과 함께 퇴마를 하는 퇴마사다. 평소처럼 빙의 환자를 치료하던 어느 날, 절친한 선배에게서 의문의 메일이 왔다. 그리고 갑작스러운 선배의 죽음으로 찾아간 장례식장에서 무서운 기운을 느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다른 사람처럼 변하고 이따금 기억을 잃는 금주. 얼마 전 남편의 죽음도, 점점 변해가는 딸의 모습도 나 때문인 것 같아 괴롭다. 남편의 장례식장에 그의 후배라는 정신과 의사 진명이 찾아왔...

    퇴마; 무녀굴
  • 2025
    목소리들

    목소리들 (2025)

    목소리들

    102025HD

    1948년부터 7년 7개월 동안, 제주도는 죽음의 섬이었다. 대한민국 군대와 경찰이 공산 빨치산 소탕이라는 명목으로 섬 주민 3만여 명을 학살하고 집을 불 질렀다. 제주 4.3 피해자의 상당부분은 여성들이었지만 그들이 입은 피해는 오래 알려지지 못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한 헌신적인 제주 4.3 연구자의 길을 따라가며, 어둠 속에 봉인되어 온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목소리들
  • 2013
    비념

    비념 (2013)

    비념

    02013HD

    제주시 애월읍 납읍에 살고 계신 강상희 할머니, 할머니의 남편 김봉수는 4.3으로 희생되었다. 해군기지 문제로 떠들썩한 서귀포시 강정마을. ‘4.3의 원혼이 통곡한다’ 와 같은 수많은 현수막이 제주 4.3과 해군기지 문제가 다르지 않음을 말한다. 카메라는 유령처럼 제주도 납읍리, 가시리, 강정마을, 일본 오사카 등을 돌며 그 흔적과 균열들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다시 강상희 할머니가 혼자 살고 있는 집 앞마당으로 돌아온다.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지...

    비념
  • 2022
    수프와 이데올로기

    수프와 이데올로기 (2022)

    수프와 이데올로기

    92022HD

    2009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일본에 남은 것은 어머니와 딸 뿐이었다. 혼자 사는 노모가 걱정된 딸은 매달 도쿄에서 오사카의 본가를 찾아가기 시작한다. 그러한 딸에게 어머니는, 문득 당신이 제주 4.3의 체험자라는 말을 꺼낸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은 채 가슴 속 깊은 곳에 묻어둔 기억이 다시 숨을 쉬기 시작한다. 절대로 남에게 말하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어머니는 자신이 제주 4.3에 어떻게 관련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하는데···.​...

    수프와 이데올로기
  • 1969
    내 이름은

    내 이름은 (1969)

    내 이름은

    01969HD

    정순과 영옥이라는 이름을 고리로 1948년 제주 4·3으로 인한 상처가 1980년대 민주화 과정의 격랑과 진통을 거쳐 1998년에 이르러 그 모습을 드러내고, 2024년 오늘 어떤 의미로 미래 세대와 연결되는가를 찾아가는 작품...

    내 이름은
  • 2023
    빨간 색연필

    빨간 색연필 (2023)

    빨간 색연필

    02023HD

    섬에 살던 아홉 살 소녀 완순은 75년 전 학살에서 살아남았다. 아물지 못한 경험에는 밑줄이 그어지고, 소녀는 기억에 남은 붉은색들을 빨간 색연필로 그리기 시작한다....

    빨간 색연필
  • 2018
    해원

    해원 (2018)

    해원

    02018HD

    해방이후 남한에서의 민간인 집단학살은 1946월 8월 화순탄광사건과 대구 10월항쟁으로 시작됐다. 미군정 치하에서 발생해 남한 전역으로 확대된 대구 ‘10월 항쟁’은 “식량난이 심각한 상태에서 미군정이 친일관리를 고용하고 토지개혁을 지연하며 식량 공출 정책을 강압적으로 시행하는 것에 불만을 가진 민간인과 일부 좌익 세력이 경찰과 행정 당국에 맞서 발생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항일독립군을 토벌하고 고문•처형했던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 청산되지 않...

    해원
  • 2021
    메이•제주•데이

    메이•제주•데이 (2021)

    메이•제주•데이

    02021HD

    ...

    메이•제주•데이
  • 2022
    없는 노래

    없는 노래 (2022)

    없는 노래

    02022HD

    2014년 3월, 홍대에서는 성기완, 씨없는 수박 김대중, 갤럭시 익스프레스, 구남과 여라이딩스텔라 등 많은 음악인들이 제주 4.3 당시 불리던 노래들을 복기했다. 이 곡은 제주 4.3 생존자 김민주 할아버지의 노래를 백현진과 (故)방준석이 다시 불렀다. 이 짧은 다큐멘터리에 제주 4.3 사건 이야기와 그 시대에 음악을 만들었던 음악인의 마음을 담았다....

    없는 노래
  • 2024
    그날의 딸들

    그날의 딸들 (2024)

    그날의 딸들

    02024HD

    4.3 항쟁의 구술 작가인 양경인과 한국으로 유학 온 르완다인 파치스가 마주 보고 대화한 다음 나란히 손을 잡고 여행을 떠난다. 세대도 국적도 하는 일도 다른 두 사람은 대학살 생존자의 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날의 딸들
  • 2005
    끝나지 않은 세월

    끝나지 않은 세월 (2005)

    끝나지 않은 세월

    02005HD

    2003년 10월 15일, 한적한 가을의 어느 고층 아파트. 한가로이 베란다 화초에 물을 주는 황가. 그리고 같은 시간. 도시 변두리의 낡은 집에서 살아가는 60대 노인의 형민. TV 지방뉴스에서 흘러나오는 ‘제주4.3사건 진상보고서 확정 소식’은 두 노인의 닮아있지만 서로 다른 과거를 회상한다....

    끝나지 않은 세월
  • 2023
    포수

    포수 (2023)

    포수

    02023HD

    기사를 통해 할아버지 서옥이 4.3의 피해자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훈은 카메라를 들고 무작정 할아버지를 찾아간다. 처음에 카메라 앞에서 말하기를 꺼렸던 서옥은 손자가 원하는 말을 조금씩 꺼낸다. 어느 날 술에 취한 서옥은 예상치 못한 증언을 한다. 몰랐던 진실을 마주하고 놀란 지훈은 끝까지 카메라를 겨누며 서옥의 이야기를 쫓는다....

    포수
  • 2024
    돌들이 말할 때까지

    돌들이 말할 때까지 (2024)

    돌들이 말할 때까지

    02024HD

    여기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아온 다섯 명의 여성이 있다. 1940년대 후반, 스무 살 내외의 젊은이로 제주 4.3을 겪는 와중에, 그중 네 사람은 심지어 재판도 없이 전주형무소로 보내져 감옥생활까지 해야 했다. 다섯 명의 할머니들이 겪었던 4.3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4.3은 단지 과거에만 머물러 있는 일이 아니었고 당시 제주도에 국한된 일만도 아니었다. 4.3이 일어난 지 70여 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제주4.3도민연대에서 준비...

    돌들이 말할 때까지
  • 2011
    이어도

    이어도 (2011)

    이어도

    02011HD

    삶의 무게감에 눌려버린 어린 엄마의 이야기.아이를 버리려 마음을 굳게 먹지만 가슴의 아픔만 더해지고, 맺힌 한을 털어내는 유일한 방법은 나지막한 울음뿐이다. 섬에는 척박함을 더욱 모질게 만드는 바람과 돌, 그리고 여자뿐이다....

    이어도
  • 2013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2013)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7.42013HD

    1948년 11월, 제주섬 사람들은 ‘해안선 5km 밖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흉흉한 소문을 듣고 삼삼오오 모여 피난길에 오른다. 도대체 무슨 일이 어디서부터 일어나고 있는지 영문도 모른 채 산 속으로 피신한 마을 사람들은 곧 돌아갈 생각으로 따뜻한 감자를 나눠먹으며 장가갈 걱정, 집에 두고 온 돼지걱정 등 소소한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웃음을 잃지 않는데......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 2020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2020)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02020HD

    제주의 일제 동굴진지와 4.3과 관련된 동굴들, 그 동굴이 품은 바다 이미지를 다각도로 들여다보았다. 밖에서 동굴을 들여다보는 것은 검고 어두운 카메라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것 같았고, 그 안에 들어가서 밖을 보면 동굴의 입구 형태만큼 스크린이 되었다....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 2025
    기억 샤워 바다

    기억 샤워 바다 (2025)

    기억 샤워 바다

    02025HD

    제주 4·3 이후 일본으로 밀항해 재일조선인의 삶을 산 고(故) 김동일이 남긴 2,000여 점의 뜨개와 옷들은 그녀의 기억과 정체성을 지켜온 작은 역사이다. 김동일의 유품을 정리하고 나누는 과정 속에서, 그녀와 같은 시대를 살아온 다양한 재일조선인의 여전히 아물지 않은 삶을 조명하고 서로 얽혀 있는 기억을 나누고 연결한다....

    기억 샤워 바다